학술대회 토론자 가이드라인
2022.04.21 18:49
학술대회 토론자 가이드라인
한국건강형평성학회 학술위원회(2022년 4월)
토론자의 역할
- 토론자의 역할은 발표된 논문에 대한 유효한 논평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와 관련하여 토론자에게는 두 가지 책임이 있다.
- 청중이 논문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 저자가 논문을 개선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토론자의 업무
- 토론자는 세션에서 발표된 논문에 대한 전문적이고 건설적인 비판을 제공하고, 발표 내용을 더 넓은 맥락과 연결지었을 때 드러나는 문제를 제기할 책임이 있다.
- 토론자는 발표 전 미리 논문을 읽고, 논문의 중요성과 학술적 기여에 대한 분석적·비판적인 논평을 준비해야 한다.
- 세션이 시작되면 토론자는 1) 논문의 요점을 해설하고, 2) 연구를 개선하는 데에 도움이 될 의견을 제시하며, 3) 세션의 취지, 연구의 학술적·사회적 기여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종합하며, 4) 연구와 관련하여 제기될 수 있는 질문을 청중을 대신하여 제기할 수 있어야 한다.
토론자의 전략
- (주어진 시간을 준수하기) 발언을 준비하고, 연습하고, 간결하게 다듬어 시간제한을 준수
- (논문의 요지와 기여를 간단하게 요약하기) 논문의 세부사항에 빠져 청중이 길을 잃지 않도록 적절한 요약을 제공
- (기존 지식과의 관계를 평가) 학술공간에서 논문의 위치를 평가하고, 빠져있는 중요한 참고문헌 또는 다른 맥락으로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
- (논문의 타당성 평가) 논문의 타당성을 평가하고, 약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
- (논문의 고유한 기여를 평가) 논문의 흥미로운 자료, 방법론, 접근 중 청중과 공유하기에 적절한 것을 소개하고, 논문의 기여를 직관적으로 요약
- (논문의 개선 방안을 제시) 논문의 개선 방안을 구체적이고, 간결하게 제시
- (큰 그림에 집중) 토론의 논점을 1~2개로 요약하고 주어진 시간을 논점에 집중
- (비판은 건설적으로) 저자에게 도움이 되면서 청중도 흥미를 가질 수 있는 건설적 비판을 간단하게 제시
- (발표 내용에 따른 유연한 대응) 발표 내용에 주의를 기울이고, 발표와 토론이 매끄럽게 연결되도록 준비된 토론 내용을 조정
* 참고자료
- What are the discussant’s roles and responsibilities? from Comparative & International Education Society
- Tips on Being a Good Discussant from Economics Scholars Program for Undergraduate Research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 학술대회 토론자 가이드라인 | admin | 2022.04.21 | 130 |
6 | 2022 봄 학술대회 자료집 | admin | 2022.05.20 | 182 |
5 | 2021 겨울 학술대회 자료집 | admin | 2022.04.20 | 123 |
4 | 2021 하계 강좌 자료 | admin | 2022.04.20 | 63 |
3 | 2021 봄 학술대회 자료집 | admin | 2022.04.20 | 53 |
2 | 2020년 봄 학술대회 <혐오와 차별의 유행, 감염병의 정치학> 자료집 | admin | 2022.04.20 | 45 |
1 | 2020 가을 학술대회 자료집 | admin | 2022.04.20 | 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