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I. 원고작성 요령
2022.07.23 21:20
원고 작성 요령을 hwp와 pdf 형식으로 업로드합니다. 잘 참고하시어 투고에 어려움 없으시길 바랍니다.
2022. 7. 7. 제정
1. 원고의 전체분량은 연구논문의 경우 학회에서 정한 편집용지 형식을 기준으로 25매 분량을 기본으로 한다. 논문은 한글로 작성하되 한글파일(.hwp)로 제출하여야 한다. 외국어의 경우는 ( )안에 소문자로 병기한다. 그러나 인명, 지명 등 고유명사는 원어를 사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2. 논문작성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논문에는 저자 이름 및 소속, 사사 표기를 포함하지 않는다.
1) 국문초록(한글 500자 이내)
2) 본문
3) 참고문헌
4) 영문초록(영어 300 단어 이내)
3. 논문 투고 신청서
신청서는 논문과 별도로 작성하여 제출한다. 국문 및 영문으로 각각 논문 제목, 저자 성명, 소속기관명과 함께 교신저자의 전자우편 주소를 명기한다. 연구비 수혜 논문인 경우 연구비의 원천과 관련 정보를 밝힌다. 연구 윤리 심의 정보(IRB 번호, 승인 기관 등)가 있다면 밝힌다. 이해관계 충돌 여부 관련 정보를 밝힌다.
1) 저자가 2인 이상인 경우에 저자명 표기 순서는 제1저자를 제일 처음 명기하며, 나머지 공동저자의 경우 논문 기여도에 따라 명기한다.
2) 소속은 성명 아래에 적는다. 교신저자의 연락주소(소속, 전자우편 주소)는 첫 번째 페이지의 맨 아래에 별도로 표시한다. 연구비 수혜 논문인 경우 연구비 지원기관을 명시하고 관련 정보를 밝힌다.
3) 영문 제목의 경우 각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표기한다.
3. 항목별 대소번호는 ‘계층어를 쓰지 않고, I, 2, 3), (4), ⑤, 가' 의 순서로 한다. 주(註)는 내각주 방식을 따르되, 부기할 내용에 한하여 각주로 처리한다.
예: (홍길동, 1995: 89-90), (Esping-Anderson, 1996: 15).
4. 문서의 편집은 다음과 같다.
1) 편집용지 : 용지종류는 크라운판(폭 176mm, 길이 248mm)으로 지정하며 용지여백은 위쪽 15mm, 머리말 15mm, 꼬리말 15mm, 아래쪽 15mm, 왼쪽/오른쪽 25mm로 설정한다.
2) 문단모양 : 왼쪽, 오른쪽, 위, 아래 모두 0, 들여쓰기 10pt, 줄간격 160, 낱말간격 0, 정렬방식 혼합
3) 글꼴 및 글씨크기
- 글꼴은 원고작성양식에 따른다.
- 제목 및 국문초록 : 제목 15pt, 부제 12.5pt, 저자명 9pt, 국문초록 10pt. 제목과 부제 목 저자명은 중간정렬로 한다.
- 본문 : 10pt, 장평 100, 자간 –4,
- 각주 : 8.5pt
- 항목별 대소번호 : Ⅰ. 13pt, 1. 11.5pt, 1) 10.5pt, (1) 이하 본문과 동일
- 표 제목 및 내용 : 표 제목은 <표 번호> 표제목으로 표기, 제목 8.5pt(표 위쪽 왼쪽정렬), 표내용 8pt.
- 그림 : 그림 제목은 [그림 번호] 제목으로 표기, 제목 8.5pt(그림 아래쪽 가운데 정렬) 그림의 출처(8pt), 그림 주석(8pt) 등은 그림의 바로 아래(그림 제목의 위)에 위치하며 그림 위치에 맞춘다. 그림 위치는 본문의 중앙(좌우 간격이 같도록)에 위치시킴
- 참고문헌 : 제목 10pt, 문헌목록 9.5pt, 내어쓰기 30
- 영문초록 : 제목 13pt, 부제 10.5pt 저자명 9.5pt, 내용 10pt
5. 논문작성 양식: 논문의 양식은 아래의 기준에 의거해 작성한다.
1) 저자가 1명 또는 2명인 경우는 본문 내에 인용될 때마다 모두를 표기한다.
- 홍길동(2020)은....
- 홍길동과 김철수(2020)는....
- 이 연구(Parker and Jonson, 2017)는....
2) 저자가 3인~5인인 경우 첫 인용에는 모두 표기하고, 같은 문헌을 반복 인용할 때에는 대표 연구자의 이름만 적고 등(또는 et al.)으로 표기한다.
- 김영희, 김철수, 홍길동(2020)은....
- 이 연구(홍길동 등, 2018)는....
- 홍길동 등(2018)은....
- Parker, Nace, Resnin, Jonson(2017)은....
- 이 연구(Parker et al., 2017)는....
- Parker et al.(2017)은....
3) 저자가 6인 이상인 경우 대표 연구자의 이름만 적고 등(또는 et al.)으로 표기한다.(참고문헌에는 6인까지 표기한다).
6.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국문, 중국어, 일본어 등 동양 (한자권) 문헌부터 저자 이름의 가나다순으로 제시하고 그 다음 영문 등 알파벳으로 표시된 저자의 문헌을 제시한다. 즉, 국내/국외, 가나다순(알파벳순), 연도로 나열한다(본문도 동일하게 나열한다).
2) 같은 저자의 저서가 여러 개 있는 경우는 출판연도 순서로 기록하고 같은 해에 쓰여진 것은 본문에 인용된 순서에 따라서 출판연도 뒤에 1990a, 1990b, 1990c과 같은 방식으로 표기한다. 이 때, 맨 앞의 저자 성명이 같은 경우에도 성명을 모두 표기한다.
3) 논문(학위논문 포함)의 경우는 “ ”로, 저서(잡지)의 경우는 『 』를 사용하되, 영문저서(잡지)는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참고문헌 예시>
[국문단행본 및 연구보고서] 저자명, 출판년도, 『도서명』, 소재지: 발행처.
- 저자명과 발행처가 동일하면 발행처를 적지 않는다.
한국건강형평성학회, 2009, 『건강 형평성 측정 방법론』, 파주: 한울아카데미.
김동진, 이소영, 기 명, 김명희, 김승섭, 김유미 등, 2013, 『한국의 건강불평등 지표와 정책 과제』, 연구보고서, 세종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영문단행본] 저자명, 출판년도, 도서명(이탤릭체), 소재지: 발행처.
Gostin, L. O., 2021, Global Health Security: A Blueprint for the Futur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국문논문] 저자명, 출판년도, “논문명”, 『잡지명』, 권호, 게재페이지.
o 저자 2인∼5인
박영윤, 이현주, 안옥희, 2020, “쪽방복지서비스에 대한 쪽방활동가의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31(2), 23-31.
o 저자 6인 이상
이윤경, 김강희, 강현진, 조세린, 김수지, 김미정 등, 2020, “한국의 담배규제정책 관련 근거중심 문헌고찰 및 평가: 젊은 성인을 위한 담배규제정책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40(2), 616-650.
[영문논문] 저자명, 출판년도, “논문명”, 잡지명(이탤릭체), 권호, 게재페이지.
o 저자 2인∼5인
Bahk, J., Kang, H.Y., & Khang, Y.H., 2020, “Inequality in life expectancy in Korea according to various categorizations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premiums as a marker of income.”, Yonsei Medical Journal, 61(7), 640.
o 저자 6인 이상
Spelten, E., van Vuuren, J., O’Meara, P., Thomas, B., Grenier, M., Ferron, R., et al., 2022, “Workplace violence against emergency health care workers: what strategies do workers use?”. BMC Emergency Medicine, 22(1), 1-11.
o 권호수가 없는 논문(DOI 표기)
Ly, A., Pierce, Post, C., & Heymann, J., 2021, “Immigration detention in the United States: Identifying alternatives that comply with human rights and advance public health”,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https://doi.org/10.2105/AJPH.2021.306253.
[편집한 책의 일부]
국내 저자명, 출판년도, “논문명”, 000 편, 『도서명』, 소재지 : 발행처, 게재페이지.
국외 저자명, 출판년도, “논문명”, 000 (Ed. or Eds.), 『도서명』, 소재지 : 발행처, 게재페이지.
o 국문 예
문옥륜, 2013, “대한민국 지역보건 60년의 역사 개관”, 지역보건의료발전을위한모임 편, 『지역보건 60년의 발자취2』, 서울 : 계축문화사, 16-103.
o 영문 예
Baars, J., Dannefer, D., & Phillipson, C., 2006, “Introduction: critical perspectives in social gerontology”, In J. Hendricks(Ed.), 『Aging, Globalization and Inequality』, New York: Routledge, 1-14.
[번역서] 원저자명, 출판년도(변역한 연도), 『역서명』, 000 역, 소재지 : 발행처.
마이클 마멋, 2015(2017), 『건강 격차』, 김승진 역, 파주: 동녘,
[학위논문] 저자명, 년도, “논문명”, 00학위논문, 00대학교.
양동욱, 2020, “건강충격이 노동공급 및 소득에 미치는 영향과 가구의 대응”,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자료집·발표문] 저자명, 년도, “논문명”, 000학회 00학술대회 자료집, 게재페이지.
- 학술대회 자료집이 아닌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적는다.
권소희, 김현경, 양영란., 2020, “건강불평등의 진화론적 개념분석”, 한국간호과학회 학술대회, 235-235.
대한산부인과의사회, 2009, “낙태 문제 관련 일부 언론의 왜곡 방송에 대한 대한산부인과의사회의 당부 및 입장 피력”.
[법령] 법령, 제정 또는 개정일, 법령 00호.
- 필요한 경우에는 법 조항 번호를 적는다.
모자보건법 시행령 제3조, 1973년 5월 28일, 대통령령 제6713호.
[신문기사] “기사명”, 000신문, 0000년 0월 00일, 게재면.
- 게재 페이지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주소를 적는다.
한겨레(2020.10.27.) “성평등자문위 의견수렴 말뿐… 복지부도 낙태죄 입법 일방통행”, 한겨레, 2020년 10월 27일.
[인터넷자료] 자료출처, 검색 연월일, “자료명”, 주소.
보건복지부, 2022년 6월 17일 검색, “모든 정책에 건강을 담아 지역 간, 소득 간 건강 격차 완화한다 -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ealth Plan 2030, ’21 ~ ’30) 수립·발표,” https://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6&CONT_SEQ=363279.
9. 논문초록
논문초록은 아래의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며, 이해하기 쉽게 작성한다.
1) 연구의 주제 및 목적
2) 연구의 방법
3) 연구결과
4) 연구의 함의 및 제언
5) 핵심어(3~6개)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한국건강형평연구』 투고시 제출 서류 | 운영자 | 2022.07.23 | 231 |
5 | 『한국건강형평연구』 게재 결정 후 제출서류 | 운영자 | 2022.07.25 | 195 |
4 | 연구윤리 규정 | 운영자 | 2022.07.23 | 174 |
» | III. 원고작성 요령 | 운영자 | 2022.07.23 | 261 |
2 | II. 논문심사 원칙 및 판정 | 운영자 | 2022.07.23 | 228 |
1 | Ⅰ. 투고 자격 및 원고제출 | 운영자 | 2022.07.23 | 194 |